국보 3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
국보 3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540~576)이 세웠다. 비문 첫머리에 순수(巡狩)라는 표현이 있어 진흥왕이 한강유역을 다녀간 것을 기념하여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서울 종로구 비봉에 있었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에서 전시되고 있다.
신라가 멸망한 이후 잊혀졌던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는 조선시대에 무학대사의 비라고 알려졌다.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가 처음 판독을 시도하여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혀내었다. 이후 금석학의 대가 김정희가 비문 해독에 성공했다. 김정희는 당시의 소감을 비석 옆에 새기기도 했다.
此新羅眞興大王巡狩之碑 丙子七月 金正喜 金敬淵來讀
이것은 신라 진흥대왕(진흥왕)의 순수비이다. 병자년(1816) 김정희와 김경연이 와서 읽고 감.
이후 김정희는 비석의 탁본을 떠서 기록으로 남겼다. 오랜 세월의 풍파를 견뎌온 비석이 훼손될 위기였음을 감안하면 김정희의 해석과 기록은 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귀중한 자료가 된다. 현재 비석 하단이 깨져있고, 6.25때 탄에 맞은 흔적도 남아 있다.
계속되는 풍파에 비석이 훼손 될 위기에 처하자 1972년 비석을 분리해 경복궁 종합박물관으로 옮겼다. 원래 자리에는 복원된 비석을 설치했는데, 이 장소도 사적 제288호 진흥왕 순수비 유지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북한산 비봉을 등산하면 복원 비석을 만날 수 있다.
진흥왕 순수비 내용 |
비석은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높이 155cm, 폭 71cm, 두께 16cm다. 비의 윗부분에는 덮개돌이 들어갈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이 남아 있다. 현재 덮개돌은 남아 있지 않으나 받침돌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따라서 비석은 덮개돌, 몸돌, 받침돌 3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비문에는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있는 간지 나 연호가 남아 있지 않다. 대체로 진흥왕 16년(555), 진흥왕 29년(568)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진흥왕이 555년 북한산을 다녀갔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남아 있다. 또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가 568년에 세워진 마운령비, 황초령비와 유사한 점도 연대를 추정하는 근거가 된다.
순수란 왕이 영토를 돌아다니며 제사를 지내고 정치와 민심을 살피던 행위였다. 순수비는 왕이 다녀 간 것을 기념하고 그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신라 진흥왕 순수비는 현재까지 4점이 발견되었다. 국보 33호 신라 진흥왕 척경비, 마운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 등이다. 비문은 진흥왕이 다녀간 사실과 이를 보좌한 신하들의 이름과 직책이 새겨져 있다.
비문에는 진흥태왕이 나타나는데 이는 진흥왕의 탁월한 업적을 칭송하기 위함이다. 당시 한강유역을 차지한 신라의 위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김유신의 할아버지인 김무력이 등장하는데, 김무력은 신라가 한강유역을 차지하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역사적 의미 |
우리나라 고대사는 남아 있는 기록이 많지 않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있지만 모두 고려시대에 기록된 것이다. 삼국사기를 저술한 김부식이나 삼국유사를 만든 일연 모두 고려시대 사람이었다. 다시 말하면 승자의 입장에서 서술한 책이라, 당시의 객관적인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삼국사기는 정사로서 인정받고 있지만, 그 초기 기록의 신빙성은 학계의 의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삼국시대사를 연구하는데 기록에만 의존한 연구방법보다 고고학과의 연계를 통해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런 점에서 당시 신라인들에 의해 세워진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얼마 안 되는 고대 금석문 자료이기도 하고, 신라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진흥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이라 더욱 의미가 있다. 또 한강유역이라는 요지 중의 요지를 차지한 신라가 당시 삼국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했는지는, 진흥 태왕이라는 내용만 봐도 가늠이 가능하다.
게다가 금석문의 대가 김정희가 직접 해석하고 탁본을 더 자료로 남겨두어 그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진흥왕 순수비는 북한산 외에도 전국 각지에 위치하고 있어 당시의 신라 영역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어 박물관을 찾는다면 한 번쯤 꼭 관람하길 추천한다.
참고자료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편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진흥왕 순수비> 편
동대문역사공원역 맛집 <러시아 케익> 달달한 디저트가 있는 곳 (0) | 2020.09.29 |
---|---|
본인에게 맞는 침대 사이즈(크기) 비교 및 고르는 방법 (0) | 2020.09.28 |
[서울 문화재] 국보 2호 원각사지 10층석탑 역사적 의미 및 특징 (0) | 2020.09.26 |
[서울 문화재] 국보 1호 숭례문(남대문) 역사적 특징 및 복원(화재)과정 정리 (0) | 2020.09.23 |
러시아의 카페문화: 한국과의 차이점 (1) | 2020.09.23 |